무릎이 아파 정형외과를 방문하게 되면 흔히 의사들이 종종 권유하는 것으로 무릎 연골 주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에 대해 잘 모르고 처방받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이번 시간에는 무릎 연골 주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01. 무릎 연골 주사의 정의
02. 무릎 연골 주사의 부작용
03. 무릎 연골 주사 맞는 시기와 횟수
04. 무릎 연골 주사 주입 방향
무릎 연골 주사의 정의
무릎 연골 주사는 히알루론산이라는 성분이 주를 이루는 주사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히알루론산은 우리가 무릎을 구부리고 펼 때 천천히 동작을 진행할 경우 점성을 높여 윤활유의 작용을 하고 반대로 빠르게 진행할 때에는 탄성력을 증가시켜 무릎이 받는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본래 히알루론산은 우리 무릎의 활액이라는 세포에서 계속해서 만들어지는데 우리 몸의 관절에서 만약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러한 히알루론산이 만들어지는 것이 정상일 때보다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제기능을 하지 못하여 무릎이 손상을 입게 되어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몸 스스로가 히알루론산의 생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병원에서 히알루론산 즉 연골주사를 처방받는 것입니다.
무릎 연골 주사의 부작용
흔히 무릎에 주사를 받는 것은 나중에 많은 부작용을 동반한다는 주위에 말을 많이 들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무릎 연골 주사는 그 자체만으로는 부작용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골 주사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히알루론산을 주입하는 것이기에 이것은 우리 몸에서도 생성하는 물질이어서 이것 자체로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간혹 피부 겉에 있는 균이 주삿바늘을 따라 몸 안으로 들어가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은 무릎 연골 주사 자체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자체의 부작용은 없습니다.
무릎 연골 주사 맞는 시기와 횟수
무릎 연골 주사는 보통 퇴행성 관절염 증상 초기에 맞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관절염의 증상을 일반적으로 4단계로 분류를 하는데 이 중 1 ~ 3단계일 때는 무릎 연골 주사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4단계에서는 앞의 1 ~ 3단계 때보다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건강보험의 적용이 되지 않아 비용적인 면에서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릎 연골 주사를 맞는 적절한 횟수는 일주일에 세 번 주입 후 6개월 간격으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6개월마다 주사를 맞는 이유로는 주사의 효과가 6개월간 지속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6개월이 기간을 꼭 다 채우지 않고 본인이 그전에 맞고 싶다면 맞아도 되니 참고하면 됩니다.
무릎 연골 주사 주입 방향
무릎 연골 주사를 맞을 때 무릎 안쪽이 아픈데 바깥쪽에 주사를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사마다 주사를 주입하는 방향이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은 바깥쪽에 주입을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무릎 안쪽에 주사를 놓은 경우 매우 아프기 때문이고 안쪽이든 바깥쪽이든 어디로 주사를 주입해도 무릎 신경은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관없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무릎 연골 주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평소 무릎 통증으로 연골 주사를 고민하고 있던 분들이라면 병원 가기 전 조금이나마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생활 속 꿀팁 온갖 잡지식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롭게 개정된 자동차 손해 배상 보장법에 대한 모든 것!!!(잘못하면 보험료 폭탄을 맞을 수 있다고?) (6) | 2022.07.26 |
---|---|
스마트폰을 티비 및 컴퓨터에 연결해서 이용하는 방법들!!! (10) | 2022.07.25 |
손톱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나의 건강상태(feat.검은 세로줄, 가로줄, 반월, 색깔 등) (9) | 2022.07.23 |
무릎 구부릴 때 뼈소리 또는 딱 소리 나는 이유 및 해결방법 모음!!! (9) | 2022.07.22 |
무릎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 모음!!! (14)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