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및 코인

주식에서 고점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feat. 볼린저 밴드)

by S.T.J CO Ltd 2022. 5. 5.

주식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로 매도시점을 언제가 가장 좋은지에 대한 것일 겁니다. 고점이 어디인지 모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데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고점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01. 월봉상 볼린저 밴드를 이용하기
02. 볼린저 밴드로 유추할 수 있는 이유

 

 

월봉상 볼린저 밴드를 이용하기

 

최종적인 주가의 고점을 알기 위해서는 잔파동이 많은 일봉보다는 월봉으로 보는 것이 정확성이 더 높습니다. 그리고 이를 도와줄 보조지표를 하나 설정해야 하는데 한 번쯤 들어봤을 볼린저 밴드를 추가해줍니다. HTS 화면 검색창에 '볼린저 밴드'라고 검색하여 창을 띄운 후 설정되어 있는 기본값 그대로 이용하면 됩니다.

 

 

볼린저 밴드를 적용한 차트를 살펴보면 상한선과 하한선이 나타날 것입니다. 보통 아무런 특이사항이 없을 경우 이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만 주가가 움직이지만 외부의 재료 등으로 충격을 줄 경우 상한선 혹은 하한선을 이탈하게 됩니다.

 

 

그래서 월봉상 거래량을 동반한 봉이 볼린저 밴드 상한선을 처음 뚫고 돌파한 것은 급등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추후 조금 횡보 과정을 거쳤다가 다시 볼린저 상한선을 뚫고 급등을 하게 된다면 이 때는 주가가 고점에 임박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매도하는 방향으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반응형

볼린저 밴드로 유추할 수 있는 이유

 

단순히 앞의 글만 보고 왜 저렇게 되는지 궁금해하실 겁니다. 앞서 언급하였지만 특별한 일이 없으면 보통의 주가는 볼린저 밴드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서 놀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그 사이 선을 이탈했다는 것은 외부의 개입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보통 세력이 주가를 끌어올리는 시기가 3개월 범주에 해당하는 것에 주목해야 합니다.

 

 

월봉상 처음 볼린저 밴드를 이탈한 장대양봉은 급등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매수의 시점으로 볼 수 있지만 그 후 두 번째 볼린저 밴드를 이탈하는 장대양봉은 어느 정도 높이 상승한 상태에서 마지막 세 번째 봉을 끝으로 세력이 올리는 구간이 끝나기에 안정적인 매매를 하기 위해서 두 번째 장대양봉이 끝나는 시점을 고점으로 판단하고 매도 포지션을 잡는 것입니다.

 

 

물론 두 번째 봉 이후 세번째 봉 또한 장대양봉으로 계속해서 올라갈 수 있지만 주식은 확률 싸움이기에 그러한 경우는 10번 중 2번 일어날까 말까 하므로 두 번째 봉이 끝나는 시점에 매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주식에서 고점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물론 이번에 설명한 방법만을 가지고 고점을 판단하라는 것이 아닌 여러 방법들 중 하나의 참고사항으로 이용하라는 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보조지표는 말 그대로 도와주는 것이지 100% 정확한 것은 없기 때문에 이것만 맹신하지 말고 다른 여러 기법들과 조화롭게 적용해보면서 도움을 얻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