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꿀팁 온갖 잡지식 모음

팔을 들어올리거나 뒤로 젖힐때 어깨가 아프다면?(feat. 어깨충돌증후군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 등 모음)

by S.T.J CO Ltd 2022. 8. 8.

보통 팔을 높이 들거나 뒤로 젖히는 활동 및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서 어깨가 아픈 증상들이 종종 나타나게 되는데 이것을 어깨 충돌증후군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이것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목차

01. 어깨 충돌증후군의 정의 및 원인
02. 어깨 충돌증후군과 오십견, 회전근개 파열 간의 관계
03. 어깨 충돌증후군의 치료방법

 

 

어깨 충돌증후군의 정의 및 원인

 

어깨 충돌증후군이란 쉽게 말해 어깨에 있는 두 무언가가 서로 충돌을 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어깨를 자세히 살펴보면 팔을 움직이게 해주는 회전근개가 있고 그 위에 견봉 뼈라는 것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사이에 점액낭이라는 물체가 존재하여 회전근개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게끔 윤활유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팔을 위로 높이 드는 운동 및 행동을 자주 혹은 많이 하게 되면 회전근개가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견봉 뼈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고 사이에 있는 점액낭에서 압박을 받아 서로 충돌하게 됩니다. 이때 점액낭에서 염증이 발생하게 되어 우리가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어깨 충돌증후군과 오십견, 회전근개파열 간의 관계

 

처음 어깨가 아플 때는 통증도 경미할 뿐만 아니라 증상이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해서 시간이 지나면 낫겠지라는 생각으로 가볍게 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깨 충돌증후군과 오십견, 회전근개파열은 서로 긴밀한 영향을 주고받으므로 절대 가볍게 생각하면 안 됩니다.

 

 

통증이 지속되는 와중에 팔을 들어 올리는 활동 또한 지속적으로 하게 되면 회전근개와 점액낭이 계속해서 충돌이 일어나게 되고 그 부위에서 회전근개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조금씩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팔을 움직이면 통증이 나타나게 되어 통증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 팔의 사용을 자제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을 안 하다 보니 관절이 굳어져 오십견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어깨 통증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서로 연쇄적인 이유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볍게 넘기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깨 충돌증후군의 치료방법

 

어깨 충돌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중 첫 번째는 염증을 줄이는 것입니다. 흔히 어깨가 아파 병원을 가게 되면 어깨를 사용하지 말라는 얘기를 듣곤 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염증은 문제가 되는 부위를 지속적으로 자극을 더 이상 주지 않는다면 자가 회복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선은 통증이 느껴지는 어깨의 사용을 억제해 염증을 줄여 자가 회복하는 것을 기다려야 합니다. 그러나 지속적인 업무와 같이 어쩔 수 없이 계속 사용을 해야 하는 경우라면 약물과 주사를 이용해 염증을 줄여주어야 통증은 물론 증상까지 호전될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굳은 어깨를 풀어주는 활동을 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자가 회복을 위해 어깨 사용을 억제해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관절이 굳어 오십견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천천히 어깨를 잘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어깨에 통증만 있고 어깨를 위로 올리는 것이 힘들지 않은 분들은 어깨를 풀어주는 활동은 할 필요가 없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깨를 풀어주는 활동은 다음과 같으니 따라 해 보시길 바랍니다. 팔꿈치를 구부려서 아래팔 전부가 벽에 닿게끔 해줍니다. 벽에 붙인 상태로 조금씩 위로 팔을 올려줍니다. 어깨에 통증이 느껴지는 곳까지 계속해서 팔을 올리다 통증이 느껴진다면 팔을 그만 올리고 고정시킨 뒤 무릎을 천천히 구부려줍니다.

팔이 당기는 것이 느껴진다면 5초간 자세를 유지하며 다시 원래 자세로 돌아오면 끝나게 됩니다.

 

 

두 번째 과정까지 잘 이행하였다면 이제 마지막으로 약해진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우리가 팔을 들어 올릴 때에는 회전근개뿐만 아니라 주변의 여러 근육들이 같이 쓰이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약한 회전근개의 근력을 강화해야 어깨뼈가 충돌되지 않으면서도 팔을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회전근개를 강화하는 대표적인 운동으로 세라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총 7단계가 있으니 여성분들의 경우 2단계부터 남성분들의 경우 3단계부터 선택해서 이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밴드를 적당한 곳에 묶어둔 뒤 팔을 옆구리에 붙여 직각을 만든 후 천천히 당겨 5초간 유지합니다. 빠르게 당긴다고 좋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천천히 통증이 없을 만큼만 당겨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과정을 10회 반복합니다.

 

 

앞선 같은 방법으로 앞, 옆 모두 똑같은 동작을 꾸준히 해준다면 어깨 충돌증후군을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어깨 충돌증후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통증이 미미하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괜찮아져 대수롭지 않게 여길 경우 나중에는 치료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조금 의심된다 싶으면 병원을 방문하여 꼭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