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법 빛 민사특별법/부동산학개론

입지 및 공간구조론 지대이론의 정의, 지대와 지가 및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의 견해차이 모음!!!

by S.T.J CO Ltd 2022. 9. 28.

부동산 시장론 입지 및 공간 구조론 중 지대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이것의 정의는 무엇이고 지대와 지가는 무엇이며 시대순 서상 옛 학자 들은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목차

01. 지대 이론의 정의
02. 지대와 지가
03. 고전학파 VS 신고전학파

 

 

지대 이론의 정의

 

지대 개념은 우선 광의의 지대와 협의의 제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쉽게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나누는 것으로 먼저 좁은 의미의 지대란 어떠한 것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토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토지사용의 대가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넓은 의미의 지대란 토지뿐만 아니라 공급이 제한된 생산요소의 사용에 대한 대가의 개념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대와 지가

 

지대는 앞서 언급한 개념이고 지가란 또 무엇일지 궁금하실 겁니다. 지가란 매 기간 지대를 현재의 가치로 환산한 후 전부 합산한 값을 의미합니다.

 

 

매 기간마다 사용하는 지대는 같고 이를 계속해서 이어진다면 지가는 지대를 자본 환원이율로 나눈 값이 되며 둘은 역의 관계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게 됩니다.

 

 

고전학파 VS 신고전학파

 

우선 지대에 대한 생각이 크게 달랐던 시기를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로 분리할 수 있는데 고전학파에서 지대란 잉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으며 신고 전학 파는 잉여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며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초기 고전학파에서는 토지의 자연적 특성을 중시하고 자본은 인공적이라고 말하며 이 둘을 엄격히 분리하였습니다. 더욱이 지대는 생산후 남은 잔여 즉 잉여라고 보았으며 불로소득이라고 판단을 하였기에 지대에 높은 과세를 물리는 것이 적합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반면 신고전학파는 지대는 잉여가 아니라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이고 이는 생산물 가격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를 하게 됩니다. 생산에 있어서 토지가 없으면 안 되니 임금, 이자, 지대 모두 동일한 수요공급 원리에 의해 결정되는 한계 생산 가치라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전학파는 생산물 가격이 지대를 결정한다고 보는데 예로 밀 가격이 상승하고 다른 것은 똑같다고 가정했을 때 총생산분이 증가하고 이를 뺀 나머지 잉여 부분은 당연히 기존보다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지대가 생산물 가격에 의해 좌우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신고전학파는 이것은 잘못되었으며 지대가 증가할 때 밀의 가격도 같이 상승하는 것이라고 반박하게 됩니다. 잉여가 아니라 지대가 올랐기 때문에 기존과 동일한 총생산을 유지하려면 밀의 가격을 올리는 것이 현명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지대 이론에서 지대의 정의가 지가 및 지대에 대한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의 견해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쉽게 지대는 토지의 사용대가라고 기억을 하고 지대를 잉여인지 아닌지로 견해가 나뉘어 주장하게 되었다고 굵직하게 기억하고 있으며 무난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