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로소득을 꿈꾸는 많은 분들이 주식에 관심을 가지는 것 중에 하나로 배당금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배당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목차
01. 배당금의 정의
02. 배당금 지급받는 방법
03. 배당금 계산하는 방법 및 지급일
04. 배당금 투자 시 주의점
배당금의 정의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여 이익잉여금이 발생하였을 때 기업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이익을 현금으로 나누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기업들은 매년 12월 말에 연말 결산을 통하여 한 해 동안 얼마의 이익이 발생했는지를 산정하여 배당금을 지급하게 됩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종목들은 1년에 한 번 결산을 하여 연말 배당을 주로 하지만 삼성전자와 같은 종목들은 분기마다 결산을 하여 배당을 하기도 하고 또 다른 일부 종목들은 반기마다 배당을 하기 때문에 각 종목들마다 언제 배당을 지급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배당금 지급받는 방법
배당금을 받는 방법에 앞서 먼저 배당기준일이라는 단어를 알아야 합니다. 배당기준일이란 연말 배당을 기준으로 할 때 매년 마지막 날까지는 해당하는 종목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이 지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한국 주식시장은 매년 연말인 12월 31일에는 거래를 하지 않으므로 그 전날인 12월 30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배당금이 나오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하나 주의를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배당기준일은 12월 30일이지만 배당을 받기 위해 해당하는 종목의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시기는 그보다 2일 전인 12월 28일까지는 매수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과거의 주식시장은 지금처럼 개인이 손쉽게 매수매도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고 전화로 주문을 할 수 있는 때였는데 그로 인해 정산처리과정에서 이틀 정도 소요되는 구간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에는 HTS 등 개인이 손쉽게 할 수 있게끔 많이 발달되었지만 과거의 처리과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이틀간의 공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므로 배당기준일보다 이틀 전인 12월 28일에 매수가 완료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쉬운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주식의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 만약 12월 29일에 매수를 하였다면 A라는 주식을 샀다는 공식적인 인정은 매수한 날을 기준으로 이틀 뒤에 인정이 되기 때문에 배당기준일을 지나쳐버려 배당금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12월 27일까지 A라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가 급한 일이 있어 12월 28일에 매도하였다면 이 경우도 28일에 결과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았으므로 배당기준일에 미치지 못해 배당금을 받지 못하게 되니 이점들에 유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 조건들을 잘 만족하였다면 종목마다 지급시기가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3~4월 내로 본인의 주식 계좌에 배당금이 자동을 들어올 것입니다.
배당금 계산하는 방법 및 지급일
해당하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DPS라고 해서 주당 배당금이라고 적혀 있는 부분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해당 기업의 1주당 상응하는 배당금액을 나타내므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주식수와 DPS에 적힌 금액을 곱한다면 본인이 수령할 배당금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때 적힌 DPS는 작년에 배당했던 금액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이번에도 똑같이 적용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즉 만약 기업의 실적이 더 좋아졌다면 DPS의 값이 작년 대비 더 커질 수도 있고 기업의 실적이 나빠졌다면 DPS의 값이 작년 대비 더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그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기보다는 어림짐작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의 배당금이 구체적으로 언제 수령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검색창에 '증권정보 포털'이라고 검색하여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 상단에 '주식'이라고 적힌 배너를 클릭 후 왼쪽에 '주식 권리일정' - '대금지급일정'을 순서대로 들어가서 본인이 받을 기업의 이름을 입력 후 조회를 누르면 정확한 배당금 지급 일정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금 투자 시 주의점
배당금을 투자하기 위해 여러 종목을 살펴보면 예적금과는 비교도 안 되는 수익률이 높은 배당주들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고배당주에 투자를 하면 좋지만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배당금으로 얻은 수익보다 주가가 하락하여 손해를 입은 것이 크다면 배당금 투자를 하지 않은 것만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작정 배당이 높은 종목만을 투자할 것이 아니라 여러 관점에서 알맞은 종목과 매수시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배당금에 대한 여러 가지 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급등락이 심한 주식투자보다는 은행 예적금처럼 안정적이면서도 보다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주는 배당금 투자에 대해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주식 및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코인을 거래하는 방법(기초 계좌개설에서 매매방법 등) (7) | 2022.05.22 |
---|---|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비대면 계좌 개설 방법(feat. HTS, MTS) (11) | 2022.05.21 |
해외계좌 개설 시 각 증권사 별 수수료, 환율, 이벤트 등 비교 모음!!! (10) | 2022.05.14 |
파동 및 피보나치 기법을 이용한 매수 타점 잡는 방법!!! (8) | 2022.05.13 |
저평가된 종목을 발굴하는 방법!!!(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고?) (7) | 2022.05.07 |
댓글